모두를 위한 해양 리터러시

우리가 원하는 바다에 필요한 과학

ⓒ 유신재

염분

전 세계적으로 강수량 증가 등으로 인해 바다 표면의 염분 농도가 낮아지고 있다. 우리나라 인근의 바다 또한 마찬가지로 염분 농도가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다. 우리나라 인근 바다 전체의 경우 지난 56년(1964-2019년) 동안 약 0.224psu 줄어들어, 북서태평양 염분 변화 값과 유사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출처).

서해(노란색)는 동해(초록색)나 남해(파랑색)에 비해 표층 염분농도가 낮다. 서해는 표층 염분농도가 낮아지는 속도 또한 가장 빨라서 지난 56년 간 0.358psu 정도 낮아졌다. 남해는 56년 간 0.302psu, 동해는 0.09psu 정도 낮아졌다.

ⓒ 유신재

계절별로 살펴보면 여름에 많은 강수량과 민물의 유입으로 인해 표층염분이 낮아지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서해바다가 염도가 낮은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는 서해가 육지로 둘러싸여 있으면서 수심이 깊지 않아, 유입되는 민물의 영향을 크게 받기 때문이다. 특히 여름철 밀려드는 양쯔강의 민물로 인해 서해 남부와 동중국해의 염분 농도가 크게 낮아진다.

ⓒ 유신재

기상청의 기후정보포털 종합 기후변화감시정보에서도 정선해양관측자료를 활용한 국내 해역별 표층염분 연평균 자료를 확인할 수 있다.

기후변화와 우리나라 인근 바다의 변화

수온

용존산소

pH

해수면 높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