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성(pH)


pH는 수소 이온 농도 지수를 말한다. pH는 물질의 산과 염기의 강도를 나타내는 척도로 pH 7이 중성이며, 일부 초강산이나 초강염기 물질을 제외하면 pH 값의 범위는 0에서 14 사이이다. pH 값이 클수록 수소 이온 농도가 낮고 염기성이며, 반대로 pH 값이 작을수록 수소 이온 농도가 높고 산성이다. pH는 수소 이온의 농도의 역수에 로그를 취한 값으로 pH 값 1이 하락하면 수소이온농도 값은 10배 증가한다. 바닷물에 녹아있는 여러 염이온으로 인해 바다는 약한 알칼리를 띠고 있다. … »

해수면 높이(Sea level)


해수면 높이가 상승하면 해안지역 침수와 담수 오염 등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해수면 높이의 변화는 기후변화를 보여주는 현상이므로 해수면 높이는 기후변화에 대한 중요한 지표이기도 하다. 해수면 높이의 변화는 엘니뇨 등의 자연적 기후변동, 지각변동, 기후변화로 인한 수온변화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일어난다. 해수면 높이를 측정하는 이유 해수면 높이는 지표로서 두 가지 의미를 갖는다. 먼저 해수면 상승이 해안지대 거주지와 농경지 침수, 담수 오염 등 여러 가지 문제(참고 전세계 해양의 문제: 해수면 상승)를 수반하기 때문이다. … »

영양염


영양염은 식물의 성장에 필수적인 해양 생태계를 지탱하는 비료의 역할을 한다. 해양에서는 다량이 소요되는 질소, 인, 규소 다량원소와 적은 양이 필요한 철 등이 모자라면 식물의 성장을 제한할 수 있다. 영양염은 부족하면 생산성의 저하, 많으면 적조 발생, 부영양화, 빈산소 현상 등을 초래할 수 있다. 바다에서 영양염의 유입은 연안에서는 주로 강물, 지하수를 통하여 이루어지고 원양에서는 주로 저층에서 표층으로 혼합이나 용승에 의해 일어난다. 바람에 의해 대기를 통해서도 전달되기도 한다. 연안 환경에서는 인간활동에 의한 영양염 유입증가, 원양에서는 수온상승에 의해 저층에서 표층으로의 영양염 유입이 감소되는 양극화가 일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 »

COD (화학적 산소요구량)


COD은 (Chemical oxygen demand: 화학적 산소요구량) 물속의 유기물이나 아질산염 등 산화성 오염물질을 산화시키는데 필요한 산소량이다. COD는 수질을 빨리 측정할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이다. 연안 환경에서 COD는 환경 내의 유기물이 얼마나 존재하는지, 또 수질 관리가 잘 되고 있는지를 알려줄 수 있다. COD는 왜 중요한 지표인가? 연안에서는 강물이나 지하수를 통하여 육상 기원의 유기물이 끊임없이 유입된다. 여기에는 농업, 축산업, 생활, 공업 등 인간활동의 결과로 만들어진 다양한 유기물이 포함되어 있다. 이 유기물은 분해되는 과정에서 산소를 소비하므로 빈산소 상태를 만들 수 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