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식지 파괴


개발사업과 간척, 바다모래 채취 및 자원 채취로 인해 많은 해양서식지가 파괴되었다. 저인망 어업과 같은 파괴적인 어획 방식이 바다의 서식지를 파괴하고 있다. 늘어나는 해산물 수요로 인해 증가한 양식어업 또한 해안을 파괴하고 있다. 해양 생물의 서식 카리브 해 망그로브 숲의 모습. 망그로브 숲은 많은 해양생물의 산란장이자 보육장 역할을 한다.출처: Shutterstock 바다는 광활하고 깊지만, 대부분의 해양 생물은 빛과 영양분이 풍부한 특정 지역에 모여서 산다. 육지와 맞닿은 연안지대는 얕은 수심과 육지나 깊은 바다로부터 올라오는 영양분으로 인해 많은 생명체의 보금자리가 되어왔다. … »

전 세계 해양의 지표


인류는 바다를 이해하기 위해 다양한 지표를 측정해왔다(참고: 바다의 지표). 오늘날 바다는 인간의 활동과 그로인한 기후변화로 인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수온은 빠르게 상승 중이며, 강수량 증가 등으로 인해 지역적으로 염분의 변동도 커지고 있다. 바닷물이 따뜻해지고, 일부 해역에서는 생물 활동으로 인해 산소가 고갈되면서 바닷물 속의 용존산소도 전반적으로 줄어들고 있다. 인간이 내뿜은 이산화탄소는 대부분의 양이 바다로 녹아들면서 바다는 점점 산성화되어가고 있다. 또한 대륙빙하가 녹아 바다로 흘러가고, 해수 자체의 열팽창으로 인해 해수면이 상승하고 있다. … »

수온상승


1880년 이래로 매 10년 간 0.3도씩 전세계 바다의 표층 수온이 상승했다. 수온상승, 어느 정도인가? 왜 상승하고 있나? 전세계 바다의 평균 수온은 점점 상승하고 있다. 지구온난화로 인해 지구에 갇힌 열의 대부분을 바다가 흡수하면서, 바다의 온도는 빠르게 올라가고 있다. 세계 해양의 표층 수온은 지난 100년간 10년마다 0.3도씩 지속적으로 증가해왔다. 특히 지난 30년 간의 표층 수온은 신뢰도 높은 관측이 시작된 1880년 이후로 가장 높은 값을 보여줬다1. 모든 해역에서 수온이 균일하게 증가했나? 해양 표면 수온 평균의 변화(1901-2020) 출처: https://www. … »

한국 연근해는 어떻게 변화하고 있나?


전세계 바다는 하나로 연결되어 있지만, 지역별로 변화의 속도나 양상이 다르다. 우리나라 인근 바다는 일부 지표에서 전세계 평균과 비교해 빠른 변화 속도를 보이고 있다. 또한 삼면의 바다가 가진 성질 또한 달라서 변화의 양상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크게 인간활동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단기적·국지적 수질변화와, 기후변화의 영향에 의한 더 큰 시공간적 규모의 변화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해양조사선 이어도호 ⓒ 유신재 기후변화와 우리나라 인근 바다의 변화 수온 용존산소 염분 pH 해수면 높이 … »